본문 바로가기

도덕적 직관주의2

무어의 윤리학 G.E. 무어(George Edward Moore)는 20세기 초반의 철학자로, 그의 윤리학은 현대 윤리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무어의 주요 작업은 그의 책 "Principia Ethica"에서 잘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그는 윤리적 자연주의와 도덕적 상대주의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무어의 윤리학은 주로 '선(good)'의 정의와 윤리적 판단의 본질에 대한 그의 독창적 견해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무어의 개념 : '선'의 정의 무어의 윤리학의 중심에는 '선'의 개념이 있습니다. 그는 '선'을 정의하려는 시도를 '자연주의적 오류(naturalistic fallacy)'라고 비판했습니다. 자연주의적 오류는 '선'을 자연적 속성(예: 쾌락, 욕망 충족)으로 정의하려는 시도입니다. 무어는 .. 2024. 5. 16.
조셉 버틀러의 사상 조셉 버틀러(Joseph Butler, 1692-1752)는 영국의 철학자이자 신학자로, 도덕 철학과 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특히 도덕적 직관주의, 양심 이론, 자연 신학 등에서 두드러지며, 18세기 도덕 철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양심과 직관주의 윤리학(도덕적 직관주의)버틀러의 도덕 철학은 그의 양심 이론(Theory of Conscience)으로 대표됩니다. 그는 양심을 인간 행동의 최종적인 심판자이자 도덕적 인도자로 보았습니다. 버틀러는 양심이 사람에게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며, 이는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본성적 능력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양심을 단순한 감정이나 사회적 습관의 산물이 아니라,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도덕적 판단 능력으로 보았습니.. 2024.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