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장자의 사상 장자(莊子)는 중국 고대 철학자이자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로, 그의 사상은 《장자(莊子)》라는 저서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1. 도(道)천지 만물의 근원 : 장자에게 '도'는 우주의 근본 원리이자 만물의 근원입니다. 도는 고정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며 모든 존재를 포용합니다. 도는 인식할 수 없고, 언어로 설명할 수 없는 절대적이고 무한한 존재입니다. 만물의 근원이지만 언어로 나타낼 수 없는 초월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진리입니다."도는 실상이 있고 확실성도 있다. 그러나 의식적으로 힘을 들여서 함이 없고 나타남이 없다. 전할 수는 있지만 받을 수는 없다. 얻을 수는 있지만 알 수는 없다. 스스로 뿌리가 되고 스스로 바탕이 된다. 천지가 있기 전부터 존재하며 신령스러운 작용으로 하늘을 만들고 땅을 만든.. 2024. 6. 14.
노자의 사상 노자(老子)는 중국 고대 철학자이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그의 사상은 《도덕경(道德經)》에 잘 담겨 있습니다. 1. 도(道)1) 도의 본질우주의 근본 원리 : '도'는 우주의 근본 원리이자 만물의 근원입니다. 노자는 도를 "언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무형의것"으로 묘사합니다. 시공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유한한 인간의 언어로 표현할 수 없습니다. 도는 모든 것이 시작되고 돌아가는 근원으로, 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이끕니다.무위와 무한성: 도는 자연스럽게 모든 것을 이루고, 인위적인 개입 없이도 만물이 조화를 이루게 합니다. 인간은 도의 자연스러운 흐름에 따르며 살아야 합니다.2) 도와 덕의 관계도와 덕의 실천 : 덕은 도의 구체적인 실천입니다. 도의 힘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방식이 덕입니다. 도를 따르는 .. 2024. 6. 14.
불교의 사상 등장 배경1. 시대적 배경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고대 인도에서 발생한 종교로, 기원전 6세기경의 인도는 브라만교가 주류였으며 사회는 엄격한 카스트 제도에 의해 구분되었습니다. 브라만교는 복잡한 제사 의식과 다양한 신들을 숭배하는 종교였으며, 브라만 계급이 종교적 권위를 독점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사회적 구조는 많은 사람들에게 불평등과 억압을 느끼게 했습니다. 브라만교의 경전인 베다와 우파니샤드는 종교적, 철학적 사상의 근간을 이루었습니다. 베다는 주로 제사와 의례에 초점을 맞췄으며, 우파니샤드는 보다 심오한 철학적 질문을 탐구했습니다. 특히 우파니샤드 철학은 윤회와 업보, 해탈의 개념을 강조하며, 인간 존재와 우주의 본질에 대해 탐구했습니다.2. 석가모니(붓다)의 등장과 문제 의식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 2024. 6. 13.
맹자의 예와 순자의 예의 차이점 맹자는 '예'를 인간 관계와 사회적 행동의 규범으로 이해했습니다. 그는 '예'를 선인(賢人)의 도덕적인 행동으로 강조했는데, 인간은 자연적으로 선을 추구하며, 이에 따라 예의를 준수함으로써 사회적 안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고 봤습니다. 맹자의 '예'는 사회적인 질서와 도덕적 행동의 기준으로 작용하며, 인간이 근본적인 선의를 따라 행동함으로써 완성되고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한편, 순자의 '예'는 조금 다릅니다. 순자는 '예'를 주로 사회적, 정치적인 측면에서 강조했습니다. 그는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규범적인 행동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그에 따르면,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고 안정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각종 제도와 규범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예가 없이는 사회적 혼란과 불안이 발생할 .. 2024.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