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순자의 '성악설' 순자(荀子, 기원전 313-238년)는 중국 고대 철학자로, 그의 성악설(性惡說)은 인간 본성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유교 사상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성악설은 인간의 본성이 본래 악하다는 주장을 담고 있으며, 이는 맹자의 성선설(性善說)과 대조를 이룹니다. 순자의 성악설은 교육과 사회 규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순자의 인간 본성론(성악설) 1. 성악설 - 이기심과 욕망 순자는 인간의 본성을 '악(惡)'으로 규정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는 맹자의 '인간 본성은 선(善)하다'는 주장과 대조적입니다. 순자는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이기적이고 탐욕스러운 본성을 지닌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본성은 규제되지 않으면 사회에 혼란과 무질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는 ".. 2024. 6. 11.
맹자 사상 '의'와 성선설 맹자(기원전 372-289)는 공자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유학자로, 본명은 맹가(孟軻)입니다. 그는 전국시대에 활동하면서 인의(仁義)와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설파했습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을 펼쳤으며, '의'는 그의 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의'의 정의 '의'(義)는 맹자 사상에서 정의와 올바름을 의미합니다. 맹자는 '의'를 인간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덕적 기준으로 보았습니다. 그는 개인의 이익보다 공공의 이익을 우선시하며,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행동하는 것이 '의'라고 주장했습니다."義는 사람이 마땅히 행해야 할 도리이다." 맹자에게 있어 '의'는 개인의 행동뿐만 아니라, 사회적 규범과 정치적 지침으로도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그는 군주가 '의'를 실천.. 2024. 6. 7.
공자의 '인' 과 '예' 사상 공자의 생애와 배경공자(기원전 551-479)는 중국 춘추 전국시대의 혼란기에 태어났습니다. 그의 이름은 공구(孔丘)이고, 공자는 존칭입니다. 공자는 당시의 사회적 혼란과 도덕적 타락을 목격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도덕적 가르침과 사회적 개혁을 추구했습니다. 그는 많은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그의 가르침은 후에 제자들에 의해 "논어"라는 책으로 집대성되었습니다.공자의 사상에서 중심이 되는 개념은 '인'(仁)과  '예'(禮)입니다. '인'은 공자의 철학적 핵심으로, 인간다움, 사랑, 자비를 의미하며, 사람과 사람 사이의 도덕적 관계를 규정하는 중요한 덕목입니다. '예'는 사회적 규범과 예의를 의미하며, 인간 관계의 기본 원칙으로 작용합니다. 공자는 '예'를 통해 사회 질서와 화합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습.. 2024. 6. 7.
이모티비즘(Emotivism) 이모티비즘(Emotivism)은 윤리학의 한 이론으로, 도덕적 언명이 객관적인 진리값을 가지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합니다. 즉, 도덕적 진술은 단순히 개인의 감정이나 태도를 표현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이 이론은 20세기 초 논리 실증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발전되었으며, 특히 A.J. 에이어와 찰스 스티븐슨에 의해 체계화되었습니다. 도덕적 언명의 기능 이모티비즘은 도덕적 언명이 사실에 대한 진술이 아니며, 따라서 참이나 거짓을 판별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살인은 잘못이다"라는 도덕적 언명은 단순히 살인에 대한 개인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며, 이 언명이 객관적인 도덕적 사실을 진술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도덕적 논쟁은 사실에 대한 논쟁이 아니라 감정과 태도에 대한 충돌로 이.. 2024.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