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무어의 윤리학 G.E. 무어(George Edward Moore)는 20세기 초반의 철학자로, 그의 윤리학은 현대 윤리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무어의 주요 작업은 그의 책 "Principia Ethica"에서 잘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그는 윤리적 자연주의와 도덕적 상대주의에 대한 강력한 비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무어의 윤리학은 주로 '선(good)'의 정의와 윤리적 판단의 본질에 대한 그의 독창적 견해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무어의 개념 : '선'의 정의 무어의 윤리학의 중심에는 '선'의 개념이 있습니다. 그는 '선'을 정의하려는 시도를 '자연주의적 오류(naturalistic fallacy)'라고 비판했습니다. 자연주의적 오류는 '선'을 자연적 속성(예: 쾌락, 욕망 충족)으로 정의하려는 시도입니다. 무어는 .. 2024. 5. 16.
니체의 사상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는 19세기 독일의 철학자로, 그의 사상은 철학, 문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니체의 철학에서 도덕은 중심적인 주제 중 하나로, 그는 기존의 도덕 체계에 대해 철저히 비판하고 새로운 도덕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니체의 도덕 비판 : 주인의 도덕과 노예의 도덕 니체는 도덕을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습니다: 주인의 도덕(Master Morality)과 노예의 도덕(Slave Morality). 이는 인간의 가치 판단과 도덕적 태도를 이해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1. 주인의 도덕(Master Morality)주인의 도덕은 강하고 자율적인 개인이 자신을 중심으로 세운 가치 체계를 말합니다. 이는 고귀한 자들이.. 2024. 5. 16.
밀의 질적 공리주의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1806-1873)은 영국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로,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를 계승하고 발전시킨 사상가입니다. 밀의 공리주의는 벤담의 원칙을 바탕으로 하되, 그에 대한 비판과 보완을 통해 더 정교하고 포괄적인 윤리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밀의 질적 공리주의-  기본 원칙밀의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기본 원칙을 따르지만, 벤담과는 달리 행복과 쾌락의 질적 차이에 주목했습니다. 밀은 쾌락이 단순히 양적으로만 평가될 수 없으며, 질적으로도 구분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고차원적 쾌락과 저차원적 쾌락을 구분하며, 인간의 정신적, 도덕적, 지적 쾌락이 육체적 쾌락보다 높은 가치를 지닌다고 보았습니다.- 고차원적 쾌락과 저차원적 쾌락밀은 쾌락.. 2024. 5. 16.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 1748-1832)은 영국의 철학자이자 법학자로, 공리주의(utilitarianism) 사상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리주의는 도덕적, 윤리적 판단의 기준을 개인과 사회의 행복과 고통의 총량으로 정의하는 철학적 접근입니다. 벤담의 사상은 특히 윤리학, 법철학, 정치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공리주의의 기본 원칙 벤담의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원칙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그는 모든 행동이 그 결과로 인한 행복과 고통의 양에 따라 도덕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도덕적 가치는 행위가 가져오는 쾌락(pleasure)과 고통(pain)의 양으로 측정됩니다. 이를 위해 벤담은 쾌락 계산법(hedonic calculus)을 제안.. 2024. 5. 15.